저축 투자

2025 청년도약계좌 업그레이드

머니 플랜트 2025. 1. 9. 10:21

📌 3줄 요약
1. 정부 기여금이 올라가요. 기존 2.4만원 -> 3.3만원
2. 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유지&기여금 일부 지급됩니다!!
3. 신용점수 가점, 부분인출 서비스가 생겼어요!


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내놓은 청년도약계좌! 처음엔 긴 납입기간으로 가입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많았지만 점점 중도해지 요건이 완화되며 24년 누적 157만 명이 가입했습니다!!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청년이 600만명정도로 추정되는데 157만명이라는 숫자는 4명중 1명은 가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심지어 25년부터 중도인출 서비스도 생겼는데요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. 

 강화된 점

하나. 기여금지원 확대.
기존에는 지급한도에 따라 기여금 매칭을 받았다면 2025년부터는 실제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. *지급한도액만큼은 기존의 매칭 비율을 따르고 매칭한도가 확대된 구간은 매칭비율 3%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합니다.  

기존에는 소득에 따라 *기여금 한도가 정해져 있었습니다. 예를들어 보겠습니다. 소득이 2,400만원 이하인 A씨는 월 40만원까지만 납입했습니다. 왜냐하면 기여금에 한도가 정해져 있어 70만원을 납입하든 지급한도인 40만원을 납입하든 최대 월 24,000원의 기여금만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. 그런데 2025년부터는 70만원가지 납입하면 40만원까지는 6%의 기여금을, 나머지 30만원은 3%의 기여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 

*지급한도액: 총급여 2,400만원 이하 40만원/ 3600만원 이하 50만원/ 4800만원 이하 60만원/ 총급여 6,000만원 이하 70만원
*기여금 한도: 2024년까지는 2400만원 이하 24,000원/ 3600만원 이하 23,000원/ 4800만원 이하 22,200원 / 총급여 6,000만원 이하 21,000원
 

둘. 3년 이상시 중도 해지한 경우 비과세 유지 & 기여금 일부 지급
기존에는 *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중도해지시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을 뱉어내야 했습니다.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만 한다면 비과세 혜택 그대로 받으면서 기여금도 60% 받을 수 있습니다.
점점 좋아지고 있는데 나중엔 기여금을 전액 돌려 받는 것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네요

*특별중도해지 사유: 가입자의 사망, 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명, 생애최초 주택구입, 결혼, 출산
 

신설

하나.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평가점수 5~10점을 부여해줍니다

둘.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 원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인출할 수 있습니다
 
부분인출에서 굉장한 메리트를 느낍니다.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률이 적었던 이유 중 하나는 긴 납입기간이었습니다.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데 5년 동안 자금이 묶이니 반응이 차가웠는데요, 2년 이상 유지하면 납입 원금의 40%를 출금할 수 있다니, 23년에 가입한 분은 올해부터 부분인 출 할 수 있을 것 같네요
 
서민금융진흥원에 문의해 보니 모든 혜택은 기존 가입자도 동일하게 적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! 

 

25년 1월의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일은 1일부터 10일까지 입니다. 해당기간에 신청하지 못하면 다음달로 넘어가니 계획 잘 해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~

 

저도 청년도약계좌에 결혼자금을 모으고 있었는데, 지급한도 이상 납입해도 기여금을 준다니 월 납입액을 늘려야겠네요ㅎㅎ
주인장의 결혼자금계획은 아래 글로~👇👇

청년도약계좌로 결혼자금 만들기

청년도약계좌란?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축적과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23년 6월 출시된 금융상품입니다. 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형성과 미래 설계를 돕기 위해 정부지원금과 세제혜택을 부

youbalancestep.tistory.com